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통령실이 제2부속실 설치를 검토한다고 처음 밝혔는데요.<br> <br>아는 기자, 정치부 조영민 기자와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. <br> <br>Q1. 제2부속실 설치를 검토한다, 이게 무슨 의미에요?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영부인을 담당하는 제2부속실을 설치하지 않겠다고 여러 차례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 부인은 선출된 권력이 아니고 가족이다, 법 외적인 지위를 관행화 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취지였습니다. <br><br>취임 이후 김 여사 관련 논란이 반복되어도 선을 그어왔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총선을 3개월여 앞둔 이 시점에 특검 정국이 되자 전격적으로 제2부속실 카드를 꺼내든 겁니다. <br> <br>Q2. 안 하겠다고 했는데 왜 바꾼 거에요? 여론 때문인가요? <br><br>윤 대통령은 이번에도 대선 공약을 번복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컸다고 합니다. <br> <br>오늘 제2부속실 설치 검토를 발표하기 전까지도 대통령은 "국민한테 약속한 것을 특별한 명분도 없이 바꿀 수가 있느냐"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참모진들은 "국민 여론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중요하지 않느냐"는 취지로 설득했다고 하고요. <br><br>Q. 실제 여권에서 제2부속실이 필요하다고 해 왔죠? <br><br>네. 여권 내부에서는 김건희 여사에 대한 국민의 불만을 어떤 방식으로든 잠재워야 한다는 건의가 계속 올라갔습니다. <br> <br>대통령 부인은 선출된 권력이 아니니 제2부속실이 필요 없다는 취지였지만, 정작 김건희 여사가 활발하게 외부 활동을 하면서 오히려 공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것 아니냐는 의견들이 올라간 거죠. <br> <br>괜히 '비선' 권력이라는 오해만 산다는 거죠. <br> <br>여권 지지층에서도 김 여사 문제 만큼은 대통령실 대응에 문제가 있다기 때문에 바뀌어야 한다는 시각이 많다는 게 여권 다수의 설명이거든요. <br><br>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제2부속실 설치에 공감의 뜻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] <br>"(대통령실에서 제2부속실 관련해서 국민 대다수가 동의하면 설치하겠다라고 했는데…) 저는 공감합니다." <br> <br>지지층의 요구에 대통령이 화답했다는 게 대통령실 기류입니다. <br> <br>Q. 지금 여사가 요즘 안 보이는데요. 2부속실 생기면 다시 활동을 할까요? <br><br>김건희 여사는 김건희 특검법이 이슈가 되면서 지난달 15일 네덜란드 순방 이후 공개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데요. <br> <br>제2부속실 설치와 무관하게 당분간 공개 활동은 하지 않을 방침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제2부속실은 여론이 요구하는 대로 공적 영역에서 감시받는 속에서 움직이게 하겠다는 거죠. <br> <br>Q. 특검법 얘기를 해보면요. 이제 다시 공이 국회로 갔어요. 오는 9일 본회의에서 재의결이 이뤄질까요? <br><br>현재로써는 가능성이 적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의 지연전술과 대통령실의 속도전이 지금 맞붙으면서 여론전이 시작됐는데요. <br><br>민주당은 당장 9일 처리 못한다, 영부인이 대상인 특검법을 대통령이 거부하는 게 맞는 건지 헌법재판소 판단을 먼저 받아보겠다고 하고 있고요. <br> <br>대통령실은 패스트트랙으로까지 처리하면서 시급하다면서, 재의결 요건도 다 갖춰졌는데 9일 본회의에서 처리 안 하면 총선용 특검임을 자인하는 거라고 맞섭니다. <br> <br>Q. 민주당은 재의결이 가능하다고 보나요? 의석수가 부족하잖아요. <br><br>재의결을 위해서는 199석을 확보해야 합니다. <br> <br>현재 야당을 다 끌어모아도 180여 석 정도니까, 국민의힘 이탈표가 필요한 거죠. <br> <br>그래서 민주당은 국민의힘 공천에서 떨어진 국회의원들이 이탈할 수 있는 다음 달 중순이나 말쯤 재의결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재의결이 되면 대통령 거부권 행사는 무력화됩니다. <br> <br>민주당으로서는 총선을 김건희 특검 국면으로 가면서 국민의힘 분열도 노릴 수 있는 거죠. <br> <br>여권도 혹시 모를 이탈표가 없도록 수를 고민하고 있는데, 재의결 통과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